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주 유권자 61% “교내 스마트폰 금지 찬성”

뉴욕주 유권자 10명 중 6명 이상은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추진하고 있는 '교내 스마트폰 사용금지'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비자발적 치료 허용 등 호컬 주지사가 추진한 치안 강화 정책도 힘을 받으면서 전반적인 호컬 주지사에 대한 지지율이 반등하는 모양새다.     시에나칼리지가 22일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호컬 주지사가 뉴욕주 예산안의 핵심 내용으로 내세웠던 내용들이 유권자의 지지를 끌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학습 능률을 높이기 위해 호컬 주지사가 제안한 '교내 스마트폰 사용금지' 정책은 뉴욕주 유권자 61%가 찬성하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책은 교내에서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막아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중독과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목적으로 추진됐으며, 현재 협상 중인 예산안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교내 스마트폰 사용금지 정책은 민주당원(61%)과 공화당원(62%) 등 정당과 관계없이 비슷한 찬성률을 보였다.     누군가를 위협하면서 마스크 등으로 얼굴을 가리고 있다면, 그 자체를 범죄로 인식하겠다는 방안 역시 64% 지지율을 끌어냈다. 특히 공화당 유권자들의 경우 70% 찬성률을 보였다. 보수적 정치성향을 가지고 있을수록 공공장소에서 얼굴을 가린 이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을 카운티 등 로컬정부 권한을 사용해 비자발적 치료 시설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내용 역시 45%의 지지를 얻었다. '디스커버리법'(Discovery Laws·소송 전 증거수집제도) 개정으로 형사사건 처리 속도를 높이는 방안도 43%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각종 정책 지지율이 높아지면서 한동안 하락했던 호컬 주지사에 대한 지지율도 반등했다. 이번 조사에서 호컬 주지사에 대한 지지율은 44% 수준으로, 지난달(40%) 대비 올랐다. 여전히 차기 주지사 선거에서 호컬 대신 다른 후보를 원한다는 비율이 48%로 절반에 가깝긴 했지만, 현재 뉴욕주지사 출마에 관심을 보인 다른 후보들이 지지율은 20%대로 낮았다.   한편 호컬 주지사와 뉴욕주의회 간 협상이 지연되면서 뉴욕주 예산안 협상은 현재 3주 이상 마감일을 넘긴 상태다. 호컬 주지사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중산층의 세금부담을 줄이고, 범죄율을 낮추고, 정신질환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예산 협상을 빨리 이뤄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스마트폰 유권자 뉴욕주 유권자 교내 스마트폰 현재 뉴욕주지사

2025-04-22

뉴욕주 유권자 10명 중 8명, 유죄 판결 불체자 추방 지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대대적인 불법이민자 추방에 나선 가운데, 뉴욕주 유권자 10명 중 8명이 유죄 판결을 받은 불법이민자 추방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3일 공개된 시에나칼리지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욕주 유권자 79%는 '유죄 판결을 받은 불법이민자를 추방하는 것'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반면 범죄 기록이 없는 불법이민자 추방에 관한 의견은 팽팽하게 갈렸다. 유권자 39%가 찬성 의견을 밝힌 반면 42%는 반대한다고 답했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신년연설에서 제안한 각종 계획들에는 대다수 유권자가 지지 입장을 밝혔다.     먼저 학생들의 교내 스마트폰 사용 금지에 대해서는 62%가 찬성, 21%가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모든 공립교 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는 77%가 찬성, 13%가 반대했으며, ▶야간 전철에 뉴욕시경(NYPD) 경관을 배치하는 것에는 71%가 찬성, 12%가 반대 ▶860만 뉴요커에게 '인플레이션 환급 체크'라는 이름으로 가구당 최대 500달러를 환급하는 방안에는 56%가 찬성, 26%가 반대 ▶기존 아동 1인당 최대 330달러 수준이던 부양자녀세액공제(CTC)를 3배 수준인 1인당 최대 1000달러로 늘리는 방안에는 63%가 찬성, 19%가 반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호컬 주지사에 대한 유권자들의 호감도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에서 주지사에 호감도는 39%인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 지지도는 44%였다. 호컬 주지사는 취임 이후 유권자들로부터 50% 넘는 호감도를 기록한 적이 없다.     내년 치러지는 뉴욕주지사 선거에서 호컬 주지사에게 투표하겠다고 응답한 비율도 31%에 불과했으며, 57%는 '다른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의 호감도는 취임 이후 약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유권자들의 호감도는 41%인 것으로 파악됐는데, 이는 지난해 12월 조사 결과인 37%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다.       현재 뜨거운 이슈인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뉴욕 유권자 약 절반이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49% 유권자들이 반대한다고 응답했으며, '멕시코만'을 '미국만'으로 변경하는 것에는 60%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성과 여성 두 가지 성별만을 인정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는 유권자 47%가 찬성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 유권자 뉴욕주 유권자 뉴욕주지사 선거 유죄 판결

2025-02-03

“유권자 등록 도와드립니다”

뉴욕주 유권자 등록 마감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퀸즈한인회와 한인권익신장위원회가 이를 지원하고 나섰다.   유권자 등록 지원은 H마트 노던 156 앞에 위치한 ‘레오나드스퀘어(Leonard Square·Roosevelt Ave &, 155th St, Flushing, NY 11354)’에서 25일과 26일 이틀 동안 오후 5시까지 진행된다.     해당 장소 외에도 ▶Jun‘s Macaron Gelato Cafe(192-02 Northern Blvd, Flushing, NY 11358·퀸즈한인회 이현탁 회장 가게) ▶초롱컴퓨터(40-13 159th St, Flushing, NY 11358) ▶포시즌즈유니폼(Four Seasons Uniform·73-19 Roosevelt Ave, Jackson Heights, NY 11372) 등에서 유권자 등록을 할 수 있다.   한편 연방 상·하원의원, 주 상·하원의원 등을 선출하는 뉴욕주 본선거는 내달 5일 실시되며, 부재자·우편투표 신청 역시 26일 마감된다.     조기 투표는 뉴욕과 뉴저지 모두 오는 26일부터 내달 3일까지 9일 동안 진행되며, 뉴욕주의 조기 투표 시간은 ▶10월 26~27일·11월 2~3일은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 ▶10월 28일~11월 1일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이다.     뉴저지주는 월요일~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8시까지, 일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싸지 조기 투표가 진행된다.  윤지혜 기자유권자 한인권익신장위원회 뉴욕주 유권자 유권자 등록 우편투표 신청

2024-10-24

뉴요커 59% “삶의 질 나빠졌다”

뉴욕주민 10명 중 6명은 지난 한 해 동안 삶의 질이 저하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스트대학이 지난 21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욕주민 59%가 지난 1년 동안 “삶의 질이 나빠졌다”고 응답했으며, 11%는 “좋아졌다”, 30%는 “그대로”라고 답했다.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원 46%, 공화당원 78%, 무당파 유권자 67%가 “삶의 질이 악화되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달 초 연방수사국(FBI)에 의해 부패 혐의로 조사를 받은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직무 지지도는 전년도 61%에서 37%로 거의 반토막이 났다. 올해 아담스 시장의 직무를 반대한 비율은 54%였으며, 응답자의 33%는 “매우 반대한다”고 답했다. 또 아담스 시장이 지난 2021년 뉴욕시장 선거에서 튀르키예 정부의 자금을 지원받은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에 대해, 뉴욕주민 10명 중 7명은 “그가 튀르키예와의 거래에서 불법적인 일을 했다고 믿는다”고 응답했다. 단 18%만이 “아담스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10%는 “확신할 수 없다”고 답했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에 대한 지지도도 낮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호컬 주지사의 지지율은 41%, 반대율은 42%로 반대 비율이 더 높았다. 민주당원 43%를 포함해 뉴욕주민 56%가 “호컬 주지사가 업무 방식을 개선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으며, “주지사가 뉴욕주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39%에 불과했다.     사기 및 돈세탁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조지 샌토스(공화·뉴욕 3선거구) 연방하원의원이 의회에서 사임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75%였으며, 척 슈머 연방상원 민주당 원내대표의 지지율은 2016년 9월 이후 역대 최고치(53%)를 기록했다.     그런가 하면 뉴욕주민들의 바이든 대통령 지지율은 소폭 하락했다. 뉴욕주 유권자 53%는 그의 업무 수행 방식에 반대했고, 44%만이 찬성했다. 2022년 49%가 반대하고 48%가 찬성한 것과 비교하면, 그의 지지율은 4%포인트 하락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요커 마리스트대학 뉴욕시장 선거 반대 비율 뉴욕주 유권자

2023-11-23

뉴욕주, 망명신청자 관련 비상사태 연장

뉴욕시의 망명신청자 위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망명신청자 위기에 대한 비상사태 선포 행정명령을 연장했다.   호컬 주지사는 23일 “뉴욕이 망명신청자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비상사태를 연장한다”고 밝혔다.     해당 행정명령에 따라 뉴욕주와 지방정부는 망명신청자의 도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셸터에 물류 및 운영 지원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주방위군을 동원할 수 있다.     23일 발표된 시에나칼리지 여론조사에 따르면 뉴욕주 유권자 대부분(84%)은 망명신청자 유입이 심각한 문제라고 응답했는데, 특히 유권자 3명 중 2명은 망명신청자 위기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을 비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 결과 뉴욕주 유권자의 64%가 바이든 행정부의 망명신청자 유입 대처에 낙제점을 줬다.     이에 따라 바이든의 지지율도 뉴욕에서 최저 수준을 찍었다.     호감도 조사에 있어 뉴욕주 유권자의 52%는 바이든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고 답했으며, 64%는 그의 직무 수행 능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했고, 65%는 “바이든의 집권 하에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최근 “망명신청자 위기가 뉴욕시를 파괴할 것”이라는 발언으로 비난을 받았는데, 설문조사 결과 뉴욕주 유권자의 58%는 아담스 시장의 발언에 동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유권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64%는 “뉴욕시는 이민자들을 위해 할 만큼 했기 때문에 유입되는 망명신청자 흐름을 늦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 8월보다 6%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이런 가운데 뉴욕시 망명신청자 돌봄비용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담스 행정부에 따르면, 망명신청자의 1일 돌봄비용은 올해 초 363달러에서 현재 394달러로 증가했다.     행정 당국은 돌봄비용 증가의 원인으로 호텔 및 셸터 임대료 상승과 셸터를 찾는 망명신청자 수의 급증을 꼽았다.     관계자들은 “행정부가 예산안 초안을 작성할 당시 하루 40가구였던 신규 이민자 수가 이번 7월 하루 98가구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뉴욕시 예산관리국은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는데, 공급은 제한된 환경에서 부지를 찾아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망명신청자 비상사태 뉴욕주 유권자 망명신청자 위기 망명신청자 유입

2023-10-24

공공안전, 여전히 뉴요커 최대 관심사

새해에도 뉴요커들의 최대 관심사는 ‘공공안전’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시에나칼리지가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범죄가 뉴욕주 전역에서 얼마나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뉴욕주 유권자 중 61%가 “매우 심각하다”, 32%가 “어느 정도 심각하다”고 답변했다. 유권자 중 93%가 뉴욕에서 발생하는 범죄가 심각하다고 답변한 셈이다.   지난 12월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심각하다(매우·어느 정도)고 답한 응답자는 90%로 이번달 여론조사에서 3%포인트 올랐다.   반면, 이번 조사에서 “별로 심각하지 않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6%, “전혀 심각하지 않다”는 1%에 그쳤다.   또 자신의 동네, 지역사회 내에서 범죄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는 매우 심각하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30%, 어느 정도 심각하다는 답변이 35%에 달했다.   한편,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의 지지율은 56%(반대 36%)로 재임 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에나칼리지는 호컬 주지사가 2023년 신년연설에서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6가지 공약 중 ▶소득세 인상 없음 ▶인플레이션 반영 최저임금 인상 ▶주정부 공무원 12주 유급가족휴가(Paid Family Leave) 보장 ▶보석금 책정 관련 판사에서 더 많은 재량권 부여 등 4가지 공약이 초당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호컬 주지사의 정책들이 뉴욕주에서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 것인가라는 질문에 54%가 긍정적인 답변을, 32%가 부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다만, 뉴욕을 더 살만한(affordable) 지역으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59%가 그렇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외에도 논란의 조지 샌토스(공화·뉴욕3선거구) 연방하원의원의 사임과 관련 유권자 59%가 사임해야 한다고 답해 초당적인 여론을 보였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맨해튼 카지노 설립과 관련해서는 찬성 38%, 반대 38%로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이번 여론조사는 2023년 1월 15일부터 19일까지 뉴욕주 등록 유권자 82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오차범위는 ±4.3%포인트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공공안전 뉴요커 뉴욕주 유권자 이번달 여론조사 뉴욕주 전역

2023-01-24

뉴욕주도 공화당 레드 물결

민주당 강세지역으로 꼽히는 뉴욕주에서도 공화당의 레드 물결로 인해 예상외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일 뉴욕포스트는 뉴욕주지사 선거 일주일을 앞둔 상황에서 발표된 새 여론조사에서 리 젤딘(공화) 후보가 캐시 호컬(민주) 주지사를 앞섰다고 보도했다.   트라팔가 그룹이 뉴욕주 유권자 1198명을 대상으로 10월 27일부터 31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젤딘 후보는 48.4%의 지지율로 47.6%의 호컬 주지사를 앞섰다.   만약 젤딘 후보가 승리할 경우 1994년 조지 파타키 전 주지사 이후 28년 만에 뉴욕주지사에 당선되는 공화당 후보로 기록된다.   지난 1975년 이후 7명의 뉴욕주지사 중 공화당 후보는 파타키 전 주지사 1명뿐이다.   젤딘 후보가 상승세를 탄 원인으로는 경제와 같은 국가적 현안뿐 아니라 범죄율 급증과 같은 지역적 문제에 대한 유권자의 우려가 급증했다는 점이 꼽힌다.   올해 뉴욕시의 강도 발생 건수는 33%나 급증하는 등 전반적으로 치안이 악화했다는 유권자의 인식이 확산하면서 젤딘 후보가 반사 이익을 얻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호컬 주지사도 선거전 초반에는 낙태 문제 등 진보성향 유권자들의 관심이 높은 현안을 선거 캠페인의 주제로 내세웠지만, 최근에는 총기 규제 등 공중 안전 문제로 초점을 돌렸다.   한편, 롱아일랜드 서폭카운티와 나소카운티 일부를 지역구로 하는 연방하원의원 출신인 젤딘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관계가 약점으로 꼽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성 지지자로 분류됐던 젤딘 후보는 지난해 1월 6일 상·하원 합동 회의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 인증을 반대하기도 했다.   한편, 에머슨칼리지·Pix11·더힐이 같은 날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호컬 주지사가 52%의 지지율로 44%의 젤딘 후보와의 격차를 지난주 50% 대 44%에서 2%포인트 더 벌렸다는 소식도 나오면서 젤딘 후보가 승기를 잡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이번 선거가 뚜껑을 열어봐야 결과를 알 수 있을 정도로 접전 구도로 변화했다는 점은 분명하다는 시선도 나온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 공화당 뉴욕주지사 선거 공화당 후보 뉴욕주 유권자

2022-11-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